내겐 너무 아찔한 그녀(thr girl next door, 2004)

우연히 채널을 돌리다가 여배우가 너무 예뻐서 보기 시작한 영화이다.
이 영화는 주인공 매튜(에밀 허쉬)가 포르노 배우인 다니엘(엘리샤 커스버트)에게 한눈에 반하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다룬 영화이다.
그냥 생각없이 보면 청소년 성장영화라고도 볼 수 있다.
아니면 심심풀이에 여배우의 몸매를 무기로 한 눈요기꺼리 영화라고도 볼 수 있겠다.


그러나, 내가 이 영화를 보고 떠오른 생각은 바로 사랑에 대한 것이였다.

사랑...

누구나 한 번쯤 사랑을 한다.
보통 그 사랑은 어릴수록 순수하고 아름답다.
아무 조건이 없기 때문에...

이 영화는 사랑하는 사람의 조건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듯하다.
대부분 말을 하듯이 사랑에는 국경이 없다고 한다.
그럼 사랑에 조건은 있을까?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포르노 배우라면 당신은 어떻게 하겠는가?
조금 더 나가서 AIDS같은 전염병을 가지고 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고등학교 시절,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창녀라면 어떻게 할까? 란 지금과 비슷한 질문을 해봤다.
결론은 "그녀를 진심으로 사랑하고, 그녀 또한 날 사랑한다면 같이 살 수 있다"였다.
그러나, 그것은 생각이지 실제상황이라면 수없이 많은 시간을 고민해야 할 문제일 것이다.

조건없이 사랑할 수 있을때 진정 아름다운 사랑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요즘같이 결혼 또한 재테크의 일환으로 여겨지는 현실에서는 서로의 조건만 생각하겠지..
조건으로 결혼하고, 조건이 없어지면 이혼하고, 심하면 아이들은 고아원에 버리는 이런 세상에 이 영화는 질문을 던진다.

한가지 더,
매튜가 장학금을 받기위해 도덕성에 대한 연설을 한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위해서는 무언가를 희생해야 한다는 것...
싸워서 이겨내야 한다고 얘기한다.
그것은 자신과의 싸움에서도 이겨야 하며, 외부의 시선에서도 이겨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엘리샤 커스버트가 너무 예뻐서 TV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에밀 허쉬는 디카프리오의 어린 시절인줄 알았다. ㅎ~
마지막 장면에서 이승희가 나왔다.

What is the most crazy thing you have done recently ?
can you answer it?



장르 : 멜로/애정/로맨스, 코미디 | 미국 | 100 분 | 개봉 2004.10.08
감독 : 루크 그린필드
출연 : 에밀 허쉬(매튜), 엘리샤 커스버트(다니엘), 티모시 올리펀트(캘리), 제임스 레마

 

'Life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콰이강의 다리 (The Bridge On The River Kwai, 1957)  (0) 2009.06.23
미인도 (2008)  (0) 2009.06.18
미쓰 루시힐 (New In Town, 2009)  (0) 2009.06.17

내가 김명민을 처음 본 것은 KBS "불멸의 이순신"에서였다.
그 때의 첫인상을 더듬어 본다면, "저 배우 신인인것 같은데 참 연기 잘한다"였다.
처음에는 생각없이 이순신을 보다가, 그의 카리스마 있는 연기에 갈수록 드라마에 빠져들었다.


오늘 MBC 스페셜의 "김명민은 거기 없었다."를 보았다.

요즘 그가 촬영하고 있는 영화는 "내사랑 내곁에"라는 영화인데, 루게릭 병을 앓고 있는 환자역활이다.

루게릭병 환자를 연기하기위해 어려운 의학서적을 읽고, 실제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면담하고,
의사와 상담을 하는 열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병이 진행되는 과정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증상을 챙긴다.
그래야, 루게릭환자 병의 진행에 따라 그 역활을 소화해 낼 수 있기 때문이였다.
먹는 것을 좋아하는 그는 하루에 야채만 2번먹고 만다. 영화촬영 1개월만에 10Kg을 빼는 초인적인 정신력을 가지고 있다.

김명민의 철저함은 그의 디테일에서 나온다.
그는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습성을 파악하여 움직일 수 있는 발의 구두는 거칠게 만들고, 쉽게 움직일 수 없는 구두는 깨끗이 닦았다.
어느 누구가 챙기지도 않고, 카메라에 잡힐 가능성도 거의 없는 아주 사소한 부분까지 그는 신경을 쓰고 있었다.
그의 리얼리티는 누가 보든 안보든 상관하지 않았다. 그 역활은 김명민 스스로 만들어가는 것이다.
감독과 PD들도 혀를 두를 만큼 철저한 관리와 연습... 아주 철저히 만들어나간다. 그래서 그는 극중 캐릭터로 불리기를 원한다.
그래서 이 다큐멘터리의 제목이 "김명민은 거기 없었다."이다. 그는 없고 극중 캐릭터만 있다.

김명민은 자신은 강심장이 아니기 때문에 몇일 전부터 연습한다고 하였다.
그의 철저한 연구와 연습 때문에 그의 연기를 보면 빠져들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를 보는 주변의 사람들은 그를 극에 몰입하기 때문에 미친것 같다라는 얘기를 한다.
또한, 극중 인물에 접신된 것 처럼 보이며, 영혼을 끌어드린다는 표현을 쓴다.

그의 신인시절은 여느 배우처럼 어렵고 힘들었다. 꽃미남과가 아니였기 때문에 단역을 전전하다 영화도 실패하였다.
그가 승부할 수 있었던 것은 철저한 연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이런 과정을 거쳐 김명민은 만들어져 갔다.
그가 연기를 포기하려고 할 때, "불멸의 이순신"에 캐스팅되고, 배우 김명민으로 다시 태어났다.

스스로 관리하고, 아주 사소한 것도 중요시 하는 그의 태도에서 대~충 하루하루 살아가는 나 자신을 반성하게 된다.
1%의 디테일이 명품을 만든다. 그의 디테일을 배워야 한다.

'Life >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원  (0) 2012.01.17
10년 다이어리 구입  (0) 2009.10.24
두번째 캠핑, 2009년 8월 15일 강화도 삼별초 야영장  (0) 2009.09.16
첫 캠핑, 2009년 7월 25일 중미산 자연휴양림  (0) 2009.08.20


1mm 보드를 속지보다 위, 아래, 옆면이 5mm
여유있게 잘라주세요.
보드의 사이를 이어줄 앨범지를 가로는 약 6cm 세로는
책 높이 보다 여유있게 잘라줍니다.
앨범지에 보드를 붙입니다. 보드에 먼저 풀칠을 하고
앨범지에도 풀칠을 하고 붙입니다.
풀칠을 할때는 두꺼운 보드에 먼저 칠하고 얇은 쪽에
발라주세요. 그래야 접착이 잘되고, 위치수정도 가능합니다. 붓질의 방향은 항상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해주세요. 그래야만 풀이 뭉치지 않고 고르게 가장자리까지
발라집니다.
책등과 책옆면 사이를 4~5mm 정도 띄워서 붙입니다.
책등 사이를 띄우는 것은 책이 펼쳐지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삐져나온 앨범지는 깨끗이 잘라서 정리해주세요.
보드에 속지를 끼고 접어서 모양을 잡아 줍니다.
먼저, 커버로 쓸 천을 지금까지 작업한 보드의 크기 보다 가장 자리로 1~2cm 넓게 잘라서 준비해 둔 후 책 앞면 보드부분에 풀칠을 합니다.
사진에서 보듯이 책앞면이 시작 되는 부분 보드부터
붙입니다. 천이 너무 얇을때는 풀이 겉으로 조오옥 배어나오는 현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풀을 바를때
흥건히 발라 주는 것 보다는 얇게 펴발라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붓을 눌러서 붓의 옆면으로 풀을 바르게 되면 많은 양이 뭍게 되니 붓을 세워 붓 끝에만 풀을 살짝
찍어 붓끝으로 가볍게 빠르게 발라 주시면 얇게
발라집니다. 풀을 바른 후 약 10초 정도 후후~ 불어 살짝 말려서 마를랑 말랑 할때 사사삭 천을 붙여 주시면 풀이 고체가 될랑 말랑 하기 때문에 천겉으로 잘 새어나오지않습니다.
이제, 책등 부분을 붙일 차례입니다. 책등보드에 풀칠을 하고~
붙일 북클로즈의 책등부분에 풀칠을 합니다.
책등보드와 북클로즈를 붙인 후 사진처럼 나머지
옆면 북클로즈도 풀칠을 해서 붙입니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잘 펴 붙힌후 책이 펼쳐지는
부분을 사진처럼 손이나 북 오프너로 모양을 잘
잡아주세요. 이부분을 잘 잡아줘야 책이 예뻐요.
자꾸 주름지게 붙여지시는 분들 ~ 붙일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공기를 살살 빼면서 붙을때 까지 손으로 다림질 하듯이 문질러 주세요. 손에는 미열이 있어서 접착력을 높여 줍니다.
그리고 종이가 마르면서 팽팽해지니 약간의
조글거림은 괜찮아요.
TIP!! 풀칠이 어렵고 잘 안되신 분들 ^0^ ~~~
우리에게는 스프레이 접착제가 있슴돠!
보드에 뿌려서 붙이시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스프레이 접착제는 한번에 붙어 버리기
때문에 위치를 잘 잡고 붙여 주세요.
모서리 부분 겉지를 사선으로 잘라 주세요. 너무 바짝
자르지 마시고 1mm정도 남겨서 잘라 주세요.
책등부분도 사진처럼 잘라주세요.
안쪽으로 붙여서 마무리 해주세요.
속지의 커버쪽 종이의 3면을 안쪽으로 1mm
잘라냅니다.

자른 속지부분에 뒤에 못쓰는 잡지 한장을 대고 딱풀로 가장자리 부분까지 꼼꼼히 풀칠을 합니다.
보드쪽으로 풀칠한 속지를 붙입니다.
마감속지 한장을 반으로 접습니다.
반으로 접은부분 한쪽면에 모서리 부분 1~2mm 정도만 풀칠을 합니다.
사진에서 처럼 속지부분에 맞춰 붙여줍니다. 풀을 마감속지 전체에 칠한것이 아니니 속지에 1~2mm 정도만
붙는 것입니다.
보드에 붙일 부분 마감속지 전체를 딱풀로 가장자리
까지 풀칠을 합니다.
보드쪽으로 붙여줍니다.
짜잔~ 커버 씌우기 완성 !!!
이제, 하룻밤 정도 무거운 책 같은 것으로 눌러 주세요.
그래야 모양이 예쁘게 잡힌답니다.~~
예쁜 노트 한권이 만들어 졌네요. ^0^
전체 씌우기 TIP!! (6~13번 과정 응용)
책등 부분과 옆면을 나눠서 붙이는 것이 어렵거나 처음 만들어 보시는 분들은 커버 전체를 한가지
천으로 씌우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천에 따라 전체를 한가지로 씌워주는 것이 더 예쁠 때도 있습니다.

커버로 쓸 천을 지금까지 작업한 보드의
크기 보다 가장 자리로 2~3cm 넓게 잘라서 준비해 둔 후 책등보드에 풀칠을 하고~

※ 천은 잘 펴서 자를 대고 칼(가능한 새칼날)로
자르면 직선으로 깨끗하게 잘 잘라집니다.
책등보드와 커버천을 붙입니다.
이제 나머지 부분을 붙입니다.
책 앞면 보드부분에 풀칠을 합니다.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잘 펴 붙힌후 책이 펼쳐지는
부분을 사진처럼 손이나 레터오프너로 모양을
잘 잡아주세요. 이 부분을 잘 잡아줘야 책이
예뻐요. ^_^

자꾸 주름지게 붙여지시는 분들 ~ 붙일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공기를 살살 빼면서 붙을때 까지 손으로 다림질 하듯이 문질러 주세요.
손에는 미열이 있어서 접착력을 높여 줍니다.
그리고 마르면서 팽팽해지니 약간의
조글거림은 괜찮아요.
모서리 부분 겉지를 사선으로 잘라 주세요.
너무 바짝 자르지 마시고 1~2mm정도 남겨서
잘라 주세요.
책등부분도 사진처럼 잘라주세요.
안쪽으로 붙여서 마무리 해주세요.
다음 단계위 위 14번 부터 이어서 하시면 됩니다.

퍼 가실 때는 꼭 출처를 남겨주세요. celltong.com

출처 : www.celltong.com/

'Life > 독서,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미터만 더 뛰어봐 - 김영식  (0) 2009.09.20
부자가 되는 비결 - 나카타니 아키히로  (0) 2009.09.20
본드제본방법  (1) 2009.04.06
아침형인간  (0) 2009.04.06

본드제본은 전문용어로 떡제본 혹은 낱장제본이라고 부릅니다. 쉽게 전달 하기 위해 본드제본이라 칭하였습니다. 낱장을 접지 않고 측면에 접착제를 발르는 제본 형식입니다. 쉽게 만들수 있고 제본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접합면이 좁아 낱장 종이가 뜯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바인딩(제본)할 종이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킵니다.
책등이 될 부분에 본드를 골고루 바릅니다.
이때 쓰는 본드는 일명 “돼지 본드” 강력력접착제
입니다. 본드를 두껍게 바르지 말고 조금씩 살살 펴서
발라 주세요. 못쓰는 자나 나이프를 이용하셔서
고르게 바르는 것도 좋습니다. 종이를 잘 고정 시켜야
본드가 종이 안쪽으로 새지 않습니다.
본드가 살짝 마르도록 약 5분 정도 고정시켜 둡니다.
가제를 책등 너비 만큼 짤라 본드 위에 붙여 주세요.
본드가 적당히 말라 있어서 따로 본드칠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제는 약국에 가면 팔아요.
삐져나온 불필요한 가제는 짤라 주세요.
본드를 다시 한번 편편히 고르게 발라주세요.
본드를 바르실때 아래로 흐르지 않게 주의 하셔야
깔끔 합니다.
10분 ~ 30분 정도 본드를 말린후 북마크로 쓸
리본을 붙여 주세요. 본드가 완전히 건조 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드를 또 바르지 않아도 됩니다.
헤드밴드를 책에 잘 맞춰 꾹꾹 눌러 붙힌후 나머지
부분을 잘라주세요. 아랫쪽도 붙히셔요.~

한지 두장을 준비한다.
1. 가로: 책등 너비 X 세로:
헤드드밴드 반정도 올라온길이
※책등 세로 길이 보다 약
5~6mm 짧게
2. 가로: 책등 너비 X 세로:
헤드밴드 아래로 1~2mm 짧게
책등에 목공용 오공 본드를 발라줍니다.
못쓰는 잡지를 밑에 깔고 한지 긴것 (9-1)한지에
목공용 본드를 한번 발라주세요. 가장자리 부분도
꼼꼼히 발려져야 합니다.
한지를 손으로 꼼꼼히 눌러 붙힌 후 짧은 한지(9-2)도
같은 방법으로 붙여 주세요.
속지 제본이 끝났네요. ^0^
이제 커버를 만들어 볼까요.
커버씌우기
퍼 가실 때는 꼭 출처를 남겨주세요. celltong.com

출처 : www.celltong.com/

'Life > 독서,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미터만 더 뛰어봐 - 김영식  (0) 2009.09.20
부자가 되는 비결 - 나카타니 아키히로  (0) 2009.09.20
본드제본방법 - 카버씌우기  (0) 2009.04.07
아침형인간  (0) 2009.04.06

요즘 아침형인간으로 변신하는 사람이 많은 듯 하다.

대학시절 올빼미로 살아가다
사회에 나와서 먹고살려니.. 적응하기 많이 힘들었다.
성공을 위해선
시간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곳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하지만,
밤 늦은 시간에는 많은 유혹때문에 아직 많이는 못하고 있다.

나날이 나오는 똥배도 빼고, 건강도 유지하려면
운동도 해야하고..
우자지간.. 아침형인간으로 변신은 이것의 해결책 같기는 한데..
평소보다 2-3시간 일찍 잤음에도 불구하고,
기상시간은 일정하다.

아~
아침형 인간으로의 변신은 몸보다 마음의 문제이다.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게을러 지는것은 어쩔 수 없나보다.

나의 게으름이여~

'Life > 독서,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미터만 더 뛰어봐 - 김영식  (0) 2009.09.20
부자가 되는 비결 - 나카타니 아키히로  (0) 2009.09.20
본드제본방법 - 카버씌우기  (0) 2009.04.07
본드제본방법  (1) 2009.04.06

+ Recent posts